나미래 Android 개발자

[Android DI] Hilt 컴포넌트 계층 구조 이해하기 본문

안드로이드/DI

[Android DI] Hilt 컴포넌트 계층 구조 이해하기

Moimeme Futur 2025. 11. 17. 23:29

Android 개발을 위한 Hilt 컴포넌트 이해

Dagger에서는 개발자가 직접 Component를 정의해야 하지만, Hilt는 Android 생명주기에 대응되는 표준 컴포넌트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즉, 개발자는 @AndroidEntryPoint와 같은 어노테이션을 마킹하면 되고 Hilt 컴포넌트 자체를 직접 정의하거나 인스턴스화 할 필요가 없다.

Hilt 컴포넌트 계층 구조

Hilt의 컴포넌트는 Android 구조처럼 계층을 가진다. 이미지에서 볼 수 있는 각 컴포넌트 위에 있는 어노테이션은 스코프 어노테이션으로 해당 컴포넌트 생명주기에 대한 의존성을 지정할 때 사용한다.

화살표는 상위 컴포넌트를 가르키고 있는데, 하위 컴포넌트는 상위 컴포넌트의 바인딩에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반대의 경우로 상위 컴포넌트는 하위 컴포넌트의 바인딩에 접근할 수 없다.
예를 들어 FragmentComponent에서는 ActivityComponent 바인딩에 접근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ActivityComponent에서 FragmentComponent 바인딩에 접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는 DI 그래프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Hilt가 가지는 핵심 특성이다.

구체적인 예시: 상위 바인딩 접근 가능 vs 불가능

상위 바인딩 접근 가능 예시

다음 예시는 이해를 돕기 위해 Repository를 Activity 범위에 바인딩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 ActivityComponent에 바인딩한 Repository */

@Moudle
@InstallIn(ActivityComponent::class)
interface RepositoryModule {
    @Binds
    fun bindUserRepository(
        impl: UserRepositoryImpl
    ): UserRepository
}
/** ActivityComponent에 바인당한 Repository는 Fragment에서 사용 가능 */

@AndroidEntryPoint
class ProfileFragment: Fragment() {
    @Inject lateinit var repository: UserRepository
}

FragmentComponent는 ActivityComponent의 하위이므로 ActivityComponent의 바인딩(UserRepository)을 사용할 수 있다.

하위 바인딩 접근 불가 예시

반대로 Activity에서 Fragment 전용 바인딩에 접근이 불가하다.

@Module
@InstallIn(FragmentComponent::class)
object FragmentOnlyModule {
    @Provides
    fun provideFragmentHelper(): FragmentHelper = FragmentHelper()
}
@AndroidEntryPoint
class MainActivity: AppCompatActivity() {
    @Inject lateinit var fragmentHelper: FragmentHelper
}

위와 같이 ActivityComponent의 하위 컴포넌트인 FragmentComponent의 바인딩에 접근하는 경우 컴파일 타임에 에러가 발생한다.

정리

Hilt 컴포넌트 계층 구조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하위 컴포넌트는 상위 컴포넌트 바인딩에 접근할 수 있다.
  • 상위 컴포넌트는 하위 컴포넌트 바인딩에 접근할 수 없다

이 구조 덕분에 DI 그래프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컴파일 타임에 의존성 오류를 미리 잡을 수 있다.

'안드로이드 > DI'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 DI] Hilt는 내부적으로 어떻게 동작할까?  (0) 2025.11.1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