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Kotlin FCM
- DataBinding
- 영어공부
- Android ProgressBar
- 카카오 알고리즘
- Kotlin
- 66챌린지
- Android
- 안드로이드 갤러리 접근
- Android ViewPager2
- android recyclerview
- Android 12 대응
- WebView
- coroutine
- OkHttp Interceptor
- Android WebView
- Android Navigation
- 알고리즘 자바
- Android Jetpack
- MVP Architecture
- 안드로이드
- 습관만들기
- Android Interceptor
-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 영어독립365
- 코틀린 코루틴
- scope function
- Java
- Android 12
- 안드로이드 카카오 로그인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Git (1)
나미래 Android 개발자

Git Stash stash 뜻은 '넣어 두다'이다. 깃 공식 문서에 따르면 Git Stash를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Stash the changes in a dirty working directory awway 말 그대로 작업물의 수정 내용을 넣어둔다(커밋하지 않고)는 의미인 것 같다. 개요 깃 공식 문서에 따르면 git stash에 대해사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Use git stash when you want to record the current state of the working directory and the index, but want to go back to a clean working directory. The command saves your local modificatio..
Git
2022. 10. 17. 22:37